맨위로가기

김기덕 (193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기덕(1934년)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으로, 서울에서 태어나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6.25 전쟁 당시 미군 부대 통역관으로 근무했으며, 1961년 영화 《5인의 해병》으로 데뷔하여 1962년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맨발의 청춘》, 《대괴수 용가리》 등 총 66편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1977년 영화감독 은퇴 후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교수를 지냈다. 2016년 폐암 진단을 받고 2017년 8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양 김씨 - 김취려
    김취려는 고려 시대 음관 출신 무신으로, 거란족 침입 격퇴와 반란 평정 등의 공을 세워 판병부사 시중에 이르렀고 고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청렴결백하고 뛰어난 계략으로 전공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 언양 김씨 - 김천일
    김천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 나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한성 수복에 기여한 의병장으로,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열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대한민국 공군 군인 - 김동완 (1935년)
    김동완(1935년)은 기상캐스터,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KBS, MBC, TBC 등에서 일기예보를 진행했고, 저서로는 《날씨 때문에 속상하시죠》, 《날씨의 신비》가 있다.
  • 대한민국 공군 군인 - 김상우 (정치인)
    김상우는 김대중 대통령 후보 외교특보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15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국제안보대사, 노무현 대통령 후보 외신대변인, 민주당 광진갑 지구당위원장, 사단법인 EACOS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정욱 (1938년)
    정욱은 1966년 영화 '육체의 산하'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했으며 특히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 전문 배우로 알려졌으나, 2006년 아들 관련 사건으로 방송 출연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이대근
    이대근은 1962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67년 KBS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영화, 드라마, 라디오,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고, '제3공화국', '제4공화국'에서 차지철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다수의 영화와 드라마 출연 및 수상 경력을 통해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현재는 연기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김기덕 (193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기덕
한글김기덕
한자김기덕(金基德)
로마자 표기Gim Gideok
출생일1934년 9월 29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일2017년 9월 7일 (향년 83세)
사망지서울특별시
직업영화 감독
대학교수
활동 기간1955년 ~ 1977년
학력
최종 학력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문예창작학과 전문학사
가족
배우자선영자
자녀김린구 (장남)
김룡후 (둘째 아들)
김미우 (셋째 딸)
김미온 (넷째 딸)
김미섭 (다섯째 딸)
김린후 (막내 아들)

2. 생애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6.25 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을 가면서 미 공군 부대 통역관으로 근무한 후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중사로 전역하였다.

1955년 전창근 감독의 영화 《불사조의 언덕》에서 통역장교 역할을 제안받았으나, 키가 작아서 출연이 무산되었다. 대신 전창근 영화의 연출부에서 일하게 됐다. 1956년 임화수의 한국연예주식회사의 전속 편집기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1961년5인의 해병》으로 데뷔해 《맨발의 청춘》, 《대괴수 용가리》 등 총 66편의 영화를 연출하였다. 1977년영광의 9회말》을 끝으로 영화감독을 은퇴한 이후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교수를 지냈다.

2016년 폐암을 진단받고, 2017년 83세로 별세했다.[5][6]

2. 1. 초기 생애 및 한국전쟁 참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라벌예술초급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6.25 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을 가면서 미 공군 부대 통역관으로 근무한 후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중사로 전역하였다.

2. 2. 영화계 입문 및 감독 데뷔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6.25 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을 가면서 미공군부대 통역관으로 근무한 후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중사로 전역하였다.

1955년 전창근 감독의 영화 《불사조의 언덕》에서 통역장교 역할을 제안 받았으나, 키가 작아서 출연이 무산되었다. 대신 전창근 영화의 연출부에서 일하게 됐다. 1956년 임화수의 한국연예주식회사의 전속편집기사로 일하기 시작했다.[2] 같은 해 영화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에서 김소동 감독의 조감독으로 일했다.

1961년5인의 해병》으로 데뷔했는데, 이 영화는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하였으며 김화랑과 공동 연출했다. 이 영화로 1962년 대종상 시상식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2] 이후 《맨발의 청춘》, 《대괴수 용가리》 등 총 66편의 영화를 연출하였다. 1977년영광의 9회말》을 끝으로 영화감독을 은퇴한 이후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교수를 지냈다.[5][6]

2. 3. 대표작 및 전성기

김기덕은 서라벌예술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했으며, 서라벌예술대학은 이후 중앙대학교와 통합되었다. 1956년 졸업 후 영화계에 입문하여 편집 기술자로 처음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영화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1956)에서 김소동 감독의 조감독으로 일했다.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 ''5인의 해병'' (1961)은 김기덕의 감독 데뷔작으로, 김화랑과 공동 연출했다. 이 영화로 김기덕은 1962년 대종상 시상식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2]

김기덕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2]

제목연도
모란이 피기까지는1962
개인교수1963
맨발의 청춘1964
떠날 때는 말없이1964
타오르는 청춘1966
어머니1966
섬마을 선생님1967
여대생 회장1967
아네모네 부인1968
별이 빛나는 밤에1972
젊은 교사1972
꽃상여1974
라스트 이닝1977


2. 4. 은퇴 이후 및 사망

1977년 《영광의 9회말》을 끝으로 영화감독에서 은퇴한 후 서울예술대학 영화과 교수를 지냈다.[2] 2016년 폐암을 진단받았으며, 2017년 9월 7일 82세로 별세했다.[3][5][6]

3. 학력

4. 경력


서라벌예술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했으며, 서라벌예술대학은 이후 중앙대학교와 통합되었다. 1956년 졸업 후 영화계에 입문하여 편집 기술자로 처음 경력을 시작했다. 영화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1956)에서 김소동 감독의 조감독으로 일했다.[2]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 ''5인의 해병'' (1961)으로 감독 데뷔를 하였으며, 김화랑과 공동 연출했다. 이 영화로 1962년 대종상 시상식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1977년 이후 영화 연출에서 은퇴하고 서울예술대학교 영화과 교수로 재직했다.[2]

5. 작품

김기덕은 영화 편집 기술자로 경력을 시작하여, ''5인의 해병''(1961)으로 감독 데뷔를 했다. 그는 ''모란이 피기까지는''(1962), ''개인교수''(1963), ''맨발의 청춘''(1964) 등 다수의 영화를 연출했다.[2]

5. 1. 감독

김기덕은 서라벌예술대학(이후 중앙대학교와 통합)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하고 1956년에 졸업했다. 영화계에는 편집 기술자로 입문하여 ''호동왕자와 낙랑공주''(1956)에서 김소동 감독의 조감독으로 일했다.[2]

한국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 ''5인의 해병''(1961)으로 감독 데뷔를 했으며, 김화랑과 공동 연출했다. 이 영화로 1962년 대종상 시상식에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2]

1977년 이후 영화 연출에서 은퇴하고 서울예술대학교 영화과 교수로 재직했다.[2]

주요 감독 작품은 다음과 같다.[2]

연도제목비고
1961년5인의 해병감독 데뷔작, 김화랑과 공동 연출, 대종상 신인감독상 수상
1964년맨발의 청춘신성일, 엄앵란, 이예춘, 윤일봉, 이민자, 주증녀 출연
1964년떠날 때는 말없이
1967년대괴수 용가리
1968년아빠 아빠 우리 아빠
1970년낙엽따라 가버린 사랑
1972년헤어져도 사랑만은
1972년결혼반지
1972년청춘교사
1973년시거든 떫지나 말지
1974년유관순
1974년꽃상여
1975년가수왕
1977년영광의 9회말


6. 수상


  • 1962년 대종상영화제 신인상[6]
  • 2000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최우수예술인 영화 부문
  • 옥관문화훈장[6]

7. 기타 이력

참조

[1] 웹사이트 Classic Film Director KIM Kee-duk Passes Away at 83 http://koreanfilm.or[...] 2017-09-18
[2] 웹사이트 김기덕 (''Kim Ki-duk'') http://www.cine21.co[...] www.cine21.com 2007-12-28
[3] 뉴스 Veteran film director dies at 83 http://english.yonha[...]
[4] 웹인용 김기덕 인물정보 http://focus.chosun.[...]
[5] 뉴스 '맨발의 청춘' 영화계 원로 김기덕 감독 별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9-07
[6] 뉴스 '맨발의 청춘' 김기덕 감독 별세…향년 83세 http://news1.kr/arti[...] 뉴스1 2017-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